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2

선악을 넘어서: 니체가 말하는 새로운 도덕의 가능성 니체가 말한 ‘선악을 넘어서’란?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의 『선악을 넘어서(Beyond Good and Evil, 1886)』는 전통적 도덕 체계에 대한 급진적인 철학적 도전을 담고 있는 저작입니다. 니체는 여기서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선’과 ‘악’의 구분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적·심리적 조건에 의해 형성된 해석에 불과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기존 도덕이 인간을 규범 속에 가두고, 창조적 본성을 억압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니체는 단순히 선악 개념을 비판하는 것을 넘어, 도덕을 재평가하고 전복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기존 도덕의 비판: 노예 도덕과 주인 도덕니체는 『도덕의 계보학』과 연계하여 ‘노예 도덕(Sklavenmoral)’과 ‘주인 도덕(Herrenmora.. 2025. 8. 2.
『성의 역사 1권: 지식의 의지』(Histoire de la sexualité, Vol. 1, La Volonté de savoir, 1976) 『성의 역사』 제1권에서 푸코는 흔히 믿는 ‘억압 가설’을 비판합니다. 즉, 근대 사회가 성을 억압했다고 보는 통념은 사실과 다르며, 오히려 권력은 성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분석하며 '생산'해왔다는 것입니다. 그는 이 과정을 '담론의 폭발'이라 표현하며, 성적 담론은 권력과 지식이 결합된 결과임을 밝힙니다. 또한, 근대의 권력은 단지 억압이 아니라, 인간의 몸과 욕망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생명정치(biopolitics)'를 통해 작동한다고 설명합니다. 이 책에서 푸코는 권력은 단순한 외부의 억압이 아닌, 스스로를 규정하게 만드는 미시적이고 분산된 네트워크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개인의 정체성, 주체성, 성적 실천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사유를 열어주었습니다. 2025. 7. 28.
“Without music, life would be a mistake.” 니체는 “음악이 없었다면 삶은 실수였을 것이다”라고 선언하며 감성과 예술의 존재론적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음악은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인간이 고통·허무·삶의 무게에 직면했을 때 자신을 초월하고 존재의 정수를 경험하게 하는 매체입니다. 그는 비극의 탄생에서 아폴로(형식)와 디오니소스(열광)의 결합적 예술이야말로 인간 내면의 분열과 통합을 드러낸다고 봤습니다. 음악은 그 중에서도 고통과 기쁨, 무의식과 의식 사이를 넘나들며 존재의 깊이를 드러내는 매개체입니다. 따라서 음악 없는 삶은 정체성 없는 신체처럼 의미를 확장하지 못하고 얕게 흐를 것이라 니체는 경고합니다. 예술과 창조를 부정한 채 단지 생존을 넘어설 수 없는 삶의 양식은 삶의 진정한 힘을 상실한 상태인지도 모릅니다. 음악은 우리가 ‘삶을 긍정하는 .. 2025. 7. 25.
『반기독교』 (The Antichrist, 1888) 니체는 『반기독교』에서 기독교를 가장 강력한 “노예 도덕”으로 규정하며, 예수의 가르침이 사랑과 용서를 강조하는 반면 실제로는 약자 중심의 자기부정적 가치 체계를 조장했다고 비판합니다. 그는 기독교가 인간의 강인함과 생의 의지를 억압하고, 죄의식과 부정적 감정을 통해 권력을 유지해 온 제도적 구조라고 보았습니다. 예수 자신보다는 그를 신격화한 교회를 겨냥하며, 이는 인간 정신과 생명력을 쇠퇴시키는 병리적 체계라는 진단을 내립니다. 니체는 “살아 있음에 대한 긍정”을 회복할 것을 촉구하며,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단순한 비판을 넘어, 기독교 세계관의 붕괴와 인간의 자기 결정권 회복을 선언합니다. 문체는 날카롭고 직설적이며, 독자에게 충격적인 사유 체험을 제공하고자.. 2025. 7. 25.
『즐거운 학문』 (Die fröhliche Wissenschaft, 1882) 『즐거운 학문』은 니체의 사색이 정점에 이른 저작으로,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이 처음 등장합니다. 그는 전통적 진리관과 도덕을 넘어서 ‘재평가의 사유’를 제시합니다. 책은 시적 단편, aphorism(경구), 시 등을 통해 다양한 삶의 국면을 짧게 포착하며, 철학적 깊이를 유지합니다. 니체는 ‘영원회귀’ 사상도 본격적으로 탐구하며, 우리가 지상의 삶을 무한 반복할 용기를 낼 수 있느냐를 질문합니다. 그는 진정한 삶은 고통과 기쁨을 포함한 전체를 긍정할 수 있는 것이며, 지성과 불굴의 의지로 삶을 향유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전통 철학자들과 도덕가들을 해체하며, 창조적이고 실존적인 사고를 강조합니다. 이는 인간이 단지 전통의 수혜자가 아닌, 자신의 삶을 떠받칠 가치를 창조하는 주체로 서야 한다는 선.. 2025. 7. 25.
『도덕의 계Genealogy of Morals』 — 도덕의 기원을 파헤치다 『도덕의 계Genealogy of Morals』는 니체가 도덕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인간 정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계보학적으로 분석한 저작입니다. 그는 선악 개념이 단순한 윤리적 구분이 아니라, 권력 관계와 인간 감정의 복잡한 역사에서 탄생한 것이라 주장합니다. 특히 그는 ‘선’이라는 개념이 지배계층의 자기 긍정에서 비롯되었으며, 반대로 ‘악’은 피지배계층의 반감에서 생겨난 ‘노예 도덕’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인간 정신이 자신을 억압하는 도덕 체계를 내면화함으로써 자기 혐오와 죄의식을 가지게 되었다는 분석으로 이어집니다. 니체는 이러한 도덕의 내면화가 현대인의 정신적 피로와 허무주의의 근원이 되었다고 진단합니다. 그는 도덕에 순응하는 대신, 그 기원을 의심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 2025. 7. 25.
반응형